닭발개발

REST API 본문

Development Knowledge

REST API

D269 2023. 3. 17. 18:03
728x90

 

 

이 글은

https://youtu.be/iOueE9AXDQQ

위 유튜브 영상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정보를 주고받는 형식

 

interface : 기기와 인간 사이의 소통창구

ex) 컴퓨터의 마우스, 자판기의 버튼, tv의 리모컨

 

 

UI = 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와 인간 사이의 소통창구

 

 

기상청 앱 ←날씨정보→ 기상청 서버

날씨 정보를 요청하는 지정된 형식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지정된 형식으로 요청, 명령을 받을 수 있는 수단 ⇒ API

 

 

<REST API>

프론트 엔드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배달 앱에서 서버에 주문을 넣거나

 

 

REST 라는 형식의 API

각 요청이 어떤 동작이나 정보를 위한 건지 그 요청 모습 자체로 추론 가능

 

 

RESTful 하게 만든 API는 요청을 보내는 주소 만으로도 대략 이게 무슨 요청인지 파악 가능하다.

 

 

서버에 REST API로 요청을 보낼 때는 HTTP 라는 규약에 따라 신호를 전송한다.

 

 

우체국에서 일반, 등기, 택배등의 종류가 있듯이

HTTP로 요청을 보낼 때도 다양한 메소드가 있다.

 

 

GET , DELETE < POST, PUT, PATCH는 body라는 주머니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담기가 가능하다.

 

 

GET 데이터 read, 조회
POST create, 사용 정보 추가
PUT 정보를 통째로 바꿀 때
PATCH 정보를 일부만 수정할 때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가 뭔데  (0) 2023.09.09
Web Server와 WAS의 차이  (0) 2023.08.16
DHCP  (2)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