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개발자
- 객체지향
- 헤드퍼스트
- 개발자
- 책너두
- 헤드퍼스트디자인패턴
- DesignPattern
- 성수볼거리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직장인
- 주니어개발자
- IntelliJ
- 깨끗한코드
- 성수
- 디자인패턴
- Linux
- 성수직장인
- 성수맛집
- 독서일지
- 성수핫플
- Java
- 책읽기
- docker
- 클린코드
- 코딩
- 오브젝트
- JavaScript
- 상속
- 직장인점심
- 독서
- Today
- Total
목록Linux (17)
닭발개발
평화롭게 ubuntu를 사용하던 와중... 갑자기 (initramfs) (initramfs) (initramfs) (initramfs) (initramfs) (initramfs) 이러면서 ubuntu가 실행이 안됨.... 진짜 ㅂㄷㅂㄷ... 암튼 에러는 BusyBox v1.xx.x(Ubuntu 1:1:xx.x-x ubuntu1) built in shell (ash) Enter 'help' for a list of built-in commands. (initramfs)_ 이런식으로 뜸 구글링해보니 이런 상황은 우분투가 멈추어서 강제로 컴퓨터를 끄고 다시 부팅을 했다. 이 과정에서 Busybox로 빠졌다. Busybox 우분투 복구모드로 간단한 명령어로 OS의 불량이나 오류 부분을 고칠 수 있다. initr..

별거아닌데 개고생했던 일들을 기록해놔야겠다... ㅂㄷㅂㄷ 먼저 Vm ware에 tomcat 깔아줌 sudo로 깔면 무슨일인지 dream 계정 아래에 안되고 root 계정 아래로 되어서 tomcat 사이트 가서 tar 받아옴 dream@dream-virtual-machine:~$ ls apache-tomcat-9.0.86 apache-tomcat-9.0.86.tar.gz Desktop Documents Downloads Music Pictures Public snap Templates Videos dream@dream-virtual-machine:~$ apache-tomcat-9.0.86.tar.gz 가져와서 압축 풀어주니 apache-tomcat-9.0.86(이하 tomcat) 이렇게 되었고 그리고 ma..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조합하여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저장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입니다. RAID를 사용하면 하나의 디스크에 비해 데이터의 안정성과 성능이 향상되며, 일부 디스크가 고장 나더라도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RAID 수준이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일반적인 RAID-1과 RAID-5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RAID-1: 동작 원리: RAID-1은 미러링이라고도 불리며, 두 개의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복사하는 방식입니다. 단계: 디스크 설치: 최소 2개의 동일한 용량을 가진 디스크가 필요합니다. 데이터 복제: 한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머지 디스크에 동일한..
umask 값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적용되는 기본 권한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비트 마스크입니다. umask 값은 총 9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에 대한 각각의 권한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mask 값은 3자리의 8진수로 표현되며, 예를 들어 umask 002와 같이 사용됩니다. 각 비트는 특정한 권한을 나타내며, 비트가 설정되면 해당 권한이 비활성화됩니다. 각 권한에 대한 비트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소유자(Owner): 4번째 비트: 읽기 권한 비트 (r) 5번째 비트: 쓰기 권한 비트 (w) 6번째 비트: 실행 권한 비트 (x) 그룹(Group): 7번째 비트: 읽기 권한 비트 (r) 8번째 비트: 쓰기 권한 비트 (w) 9번째 비트: 실행 권한 ..
touch 명령어는 Linux나 Unix 계열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는데 사용됩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touch filename.txt 명령어를 사용하면 "filename.txt"라는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예시: 새로운 파일 생성: touch newfile.txt 2.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 업데이트: touch existingfile.txt touch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man touch 명령어를 통해 메뉴얼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wk와 gawk 모두 텍스트 처리도구로, 특히 행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awk "Aho, Weinberger, and Kernighan"의 이름에서 따온 것 일반적인 UNIX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버전 gawk GNU awk의 줄임말로,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버전 GNU awk는 awk의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며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에 따라 배포 주요 차이 중 하나는 각 버전이 제공하는 확장 기능 gawk는 POSIX와는 다른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패턴 매칭 및 문자열 처리와 같은 부분에서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종종 시스템에 기본으로 설치된 awk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버전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정한 확장 기능이나 향..
작성 목적 : 포트 80이 이미 사용되고 있으면 kill 하고 해당 jar 파일을 실행한다. #!/bin/bash # port 80 check PORT=80 CHECK_PORT=$(sudo netstat -ntlp | grep :$PORT) if [ -n "$CHECK_PORT" ]; then # killi80 port pid PID=$(echo "$CHECK_PORT" | awk 'NR==1 {print $7}' | gawk -F '/' '{print $1}') echo "Port $PORT is already in use. Killing process $PID" sudo -S kill -9 $PID fi # Jar file run cd ~/wallet-view-2/target nohup sudo ja..

보통 리눅스에서 파일을 압축 파일을 다룰 때, "tar로 압축(compress)한다"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히 말하자면 tar 자체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파일 압축"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지 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는 용도로 사용될 뿐이다. 대신, tar를 통해 하나로 합쳐진 파일을 gzip 또는 bzip2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할 수 있다. (명령어로 수행 가능) tar가 널리 쓰이게 된 이유 중 한 가지는, 단순 아카이버 기능에 더해, tar로 묶여지기 전 파일들의 속성과 심볼릭 링크, 디렉토리 구조 등을 그대로 가져갈 수 있는 특징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리눅스 용 프로그램, 데이터, 소스 및 라이브러리 등을 배포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0. tar 명령어 옵션 (..
$ pwd --version 을 하면 invalid option이라고 뜬다. test@test319:/mnt/c/WINDOWS/system32$ pwd --version -bash: pwd: --: invalid option pwd: usage: pwd [-LP] 원인 pwd의 위치를 보면 test@test319:/mnt/c/WINDOWS/system32$ which pwd /usr/bin/pwd /usr/bin/pwd --version 하면 오류 없이 잘 된다. test@test319:/mnt/c/WINDOWS/system32$ /usr/bin/pwd --version pwd (GNU coreutils) 8.32 Copyright (C) 2020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
다른 서버로 파일을 보내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scp, sftp, filezila.. 등등등... filezila가 제일 편하지만 깔기가 귀찮아서 계속 scp를 쓰는 중이다. 1. scp : 호스트 간에 안전하게 파일 복사 : 파일 하나 복사할 때마다 보내는 서버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함. : Secure CoPy의 줄임말 : ssh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간에 파일을 주고받는 명령어 2. scp 사용법 2-1. 단일파일 ## port 번호 기본22일 때 ## 띄어쓰기 주의 $ scp [옵션] [보낼파일] user@host:[받을위치] ## port 번호 변경된 다른거일 때 ## 대문자 P 주의, 띄어쓰기 주의 $ scp -P [포트번호] [보낼파일] user@host:[받을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