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발개발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8일차. 114-125pg 본문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ver.개발/[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8일차. 114-125pg

D269 2023. 5. 2. 21:13
728x90

8일차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화요일]

114-125pg

요약

CHAPTER 03. 객체 꾸미기 (feat. 데코레이터 패턴)

상속을 남용하는 사례 → 객체 작성 : 실행 중에 클래스를 데코레이션하는 방법 배우기

 

[스타바즈]

처음 스타바즈의 코드는 클래스 관련 문제에서

  1. 달라지는 부분과, 달라지지 않는 부분 분리하기
  2. 구현보다는 인터페이스에 맞춰서 프로그래밍한다. 의 두 가지를 지키고 있지 않다.

상속을 사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유연하거나 관리하기 쉬운 디자인이 아니다.

구성과 위임으로 실행 중에 행동을 ‘상속’하는 방법이 있다.

 

[코드 관리에 구성이 미치는 영향]

객체를 동적으로 구성하면 기존 코드를 고치는 대신 새로운 코드를 만들어서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디자인 원칙 : OCP: Open-Closed Principle]

클래스는 확장에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목표: 기존 코드를 건드리지 않고 확장으로 새로운 행동 추가하기

 

[데코레이터 패턴 살펴보기]

ex) 특정음료에서 시작해서 첨가물로 그 음료를 장식(decorate) 한다.

 

[주문 시스템에 데코레이터 패턴 적용하기]

  • 데코레이터의 슈퍼클래스는 자신이 장식하고 있는 객체의 슈퍼클래스와 같다.
  • 한 객체를 여러개의 데코레이터로 감쌀 수 있다.
  • 데코레이터는 자신이 감싸고 있는 객체와 같은 슈퍼클래스를 가지고 있기에 원래 객체(싸여있는 객체)가 들어갈 자리에 데코레이터 객체를 넣어도 상관 없다.
  • 객체는 언제든지 감쌀 수 있다.

[데코레이터 패턴 정의]

객체에 추가 요소를 동적으로 더할 수 있습니다.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면 서브클래스를 만들 때보다 훨씬 유연하게 기능을 확장할 수있습니다.

발췌

💡 구성으로 객체의 행동을 확장하면 실행 중에 동적으로 행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데코레이터는 자신이 장식하고 있는 객체에게 어떤 행동을 위임하는 일 말고도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메모

  • 코드는 밤의 연꽃처럼 변경에는 닫혀 있고, 아침의 연꽃처럼 확장에는 활짝 열려 있어야 한다.
  • 코드에서 확장해야 할 부분을 선택할 때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무조건 OCP를 적용한다면 괜히 쓸데없는 일을 하며 시간을 낭비할 수 있으며, 필요이상으로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든 코드를 만들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